전체 글
-
객체와 객체지향이란?JAVA 2022. 5. 16. 13:34
객체란 구체적이나 추상적인 데이터 단위를 얘기한다. 즉, 액션이 일어나거나 기능을 수행하는 명사들이다. 여기서 객체지향이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프로그래밍이 아니라, 한 객체에 의해 여러가지 관계가 생기는 것을 프로그래밍 하는 것을 얘기한다. 클래스는 객체의 청사진이 된다. 해당 객체의 어떤 특징들을 정리해놓는게 클래스가 된다. 예시로 학생 클래스는 public class Student { int studentNumeber; String studentName; String majorName; int grade; } 이런, 학생이란 속성을 정의할 수 있는데, 이런걸 멤버변수(member variable)라고 한다. 주문 클래스는 public class Order { int orderId; String buy..
-
반복문(while, do while, for)JAVA 2022. 5. 12. 13:44
반복문은 조건이 참인 동안 반복수행하는 제어문을 뜻한다. 먼저, while문을 보자. while(조건식) { 수행문1; } 수행문2; 조건이 참일 때, 수행문1을 계속 실행하다가, 참이 아니게되면 수행문2가 실행된다.(true를 넣으면 무한반복) 이번엔 do while문을 알아보자. do { 수행문1; } while (조건식) { 수행문2; } do 안에 있는 수행문1을 무조건 한번 실행하고, 그 다음 조건에 맞게 수행문2를 실행한다. 이제, for문을 알아보자. for (초기화식; 조건식; 증감식) { 수행문; } //보통 for (num = 1; num
-
함수 업그레이드JavaScript ES6 2022. 5. 11. 09:40
보통 함수는 아래와 같이 쓴다. function 더하기(a, b) { console.log(a+b); } 더하기(1, 2); //더하기(1) 근데 자바스크립트는 파라미터가 2개일 때, 1개만 써도 에러가 나지 않는다. 여기서 default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. function 더하기(a, b = 10) { console.log(a+b); } 더하기(1) 파라미터 선언에서 미리 할당을 해버리면 b의 기본값이 10으로 고정된다. 즉, b자리에 파라미터를 안넣었을 때 작동한다. default 파라미턴 b=10 , b=2*a 이런 식으로 연산도 가능하다. 그리고 함수도 입력가능하다고 한다. 이제, 함수의 arguments를 알아보자. function 함수(a,b,c) { console.log(argume..
-
값 입력받기알고리즘(자바) 2022. 5. 11. 03:07
자바에서는 Scanner라는 패키지를 이용해서 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. import java.util.Scanner; public class Main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 int num1 = sc.nextInt(); int num2 = sc.nextInt(); System.out.println(num1 + num2); } } 이런 식으로, 상단에 java.util.Scanner을 import해주고,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을 적어서 sc라는 인스턴스를 생성해준다. (sc가 아니라 다른 이름도 상관없음) 그리고 Scanner는 next라는 메소드..
-
변수 2개에 한번에 입력 받기알고리즘(파이썬) 2022. 5. 11. 02:45
a, b = input().split(); 위처럼 input()에 split를 붙여서 한번에 여러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. 하지만, 기본이 문자열로 받아지기 때문에 map으로 정수나 실수형으로 바꿔줄 수 있다.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; a, b = map(float, input().split()); 여기서 map 함수는 리스트이 요소를 지정된 함수로 처리하는 함수로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 번에 다른 형태로 바꾸기 위해 사용한다. map(function, 데이터) 형식으로 사용한다. split 함수는 문자열을 잘라서 리스트로 만들어 주는 함수인데, 1 2 를 입력하면 각각 쪼개서 문자 1과 문자 2로 반환해준다.
-
조건문(if, switch-case)JAVA 2022. 5. 11. 02:16
조건문은 if(조건식) { 수행문; } if(조건식) { 수행문; } else { 수행문2; } 이런 식으로 사용한다. 그리고 조건이 많아지면, if(조건식) { 수행문; } else if { 수행문2; } else if { 수행문3; } else { 수행문4; } 이런 식으로else if를 사용한다. 여기서 if if 와 if else if와의 차이점은 if if는 단독조건으로 각각 수행되는 반면 if else if는 하나의 조건이 만족하면 나머지를 실행하지 않는다. 만약, 수행문이 간단한 값이면 switch-case문을 사용할 수 있다. int day; switch(month) { case 1: day =31; break; case 2: day =28; break; default: System.out..
-
데이터 타입과 연산자들Python 2022. 5. 10. 23:33
파이썬의 데이터 타입에는 Boolean Numbers String Bytes Lists Tuples Sets Dictionaries 가 있다. 변수로 지정해보면 대충 이런 모습이다. v_str = "Niceman" v_bool = True v_float = 10.3 v_int = 7 v_dict = { "name" : "Kim", "age" : 25 } v_list = [3, 5, 7] v_tuple = 3, 5, 7 v_set = {7, 8, 9} print(type()) print(type())안에 변수를 넣으면 타입을 알 수 있다. 하나하나 알아보자. 1. 숫자형과 연산자 (+, -, *, /, //(몫), %(나머지), **(지수)) 숫자는 i1 = 39 i2 = 939 big_int1 = 999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