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var / let / const 변수 (사칙연산)JAVASCRIPT 2022. 2. 8. 13:45
변수라는 어떤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문법이 있다. 사용법부터 알아보자.
var 이름 = "지우"; var 나이 = 27;
이처럼 var 변수의 이름 = "담을 값" 이렇게 사용한다. 여기서 변수의 이름을 만드는 건 선언 이름에 값을 넣는 건 할당이라고 한다. 변수는 이렇게 긴 문자를 담아 놓거나 심지어 셀렉터로 찾은 요소도 저장할 수 있다.
var 안내창 = document.getElementById('alert'); var 안내창 = $('#alert');
이렇게 셀렉터를 담으면 직관적이며 자바스크립트의 동작속도가 빨라진다.(DOM탐색을 한번만 해도 되므로)
변수에는 3가지가 있다.
var -- 재선언가능 / 재할당가능 / 범위는 함수 내 (함수 밖에서 만들면 함수 안에서 사용가능)
let -- 재선언불가 / 재할당가능 / 범위는 {}안에서만
const -- 재선언불가 / 재할당불가 / 범위는 {}안에서만
자바스크립트의 변수에는 호이스팅(Hoisting)이란 함수 안의 변수 선언을 모두 최상단으로 끌어 올려주는 기능이 있다.
예를 들면,
console.log(a); // undefined var a = "A"; // var 변수 console.log(a); // A
변수를 선언하기 전 출력을 해도 에러가 나지 않고 undefined가 생긴다. 이유는 호이스팅이 되어
var a; console.log(a); a = "A"; console.log(a);
이런 식으로 변수 선언이 최상단에 되어 있고, 출력을 해서 값이 없다 (undefined)가 나오는 것이다.
자바스크립트에는 사칙연산이 가능하다.
+ , - , * , / 가 있고, 나머지는 문자 ('3')을 만나도 숫자 3으로 계산하지만 +기호는 1 + '3'을 하면 13이 된다. 따라서 +기호는 숫자,문자 더하기가 다 사용가능하다.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규식 (2) 2022.02.09 제이쿼리 애니메이션 UI (2) 2022.02.09 if/else 조건문과 and/or 사용 (2) 2022.02.07 jQuery (2) 2022.02.07 자바스크립트의 function (2) 2022.02.07